본문 내용


1. English Immersion Program
- 가. 영어를 통한 교수·학습 활동
- 원어민 교사와의 Co-teaching은 수업준비와 자료개발, 평가 단계까지 심도 깊은 논의를 통하여 효율적인 수업 실시
- 영어과목 정규 수업 시 speaking 및 debating and presentation skills 지도
- 수학과목 정규 수업 English Immersion Class 운영- 13명이내의 소그룹 지도
- 해외대학진학 방과후 교육과정 운영(SAT critical reading, SAT writing skills, SAT math)
- 나. 영어 친화적 환경 구축
- 교과교실제 운영
- 영어교육 전담부서인 국제교육부가 Immersion Program을 위한 교육과정 및 교육활동 계획 및 운영
- 온라인 화상교육 시스템 구축을 통해 EBS, SAT, AP 수업 청취 및 자매학교 학생과의 교류를 위한 u-learning 활성화에 기여
2. 독서․토론․논술 교육 내실화
- 가. 독서의 명장(明匠)
- 독서를 생활화하여 전학년 학생들을 대상으로 학년별 필독(추천) 도서를 선정하고 졸업까지 100권 이상의 책을 읽음
- 나. 독서 능력 평가 대회
- 교과별 도서를 선정하여 학생들의 깊이 있는 독서를 유도하기 위한 경시대회 실시
- 다. 독서 토론 대회
- 독서를 생활화하고 함께 생각을 나눌 수 있는 독서 토론 문화 형성을 위한 독서 토론 대회 실시
- 라. 논술 능력 향상을 위한 정규 및 방과후학교 수업 실시
- 문제 현상의 정확한 분석과 비판적이고 창의적인 문제 해결 능력 향상
- 대입 수시 및 정시 전형 대비
- 마. 논술 능력 평가 대회
- 논술 능력 향상을 위한 학생들의 동기 부여 및 우수 학생 발굴
3. 개인 논문 과제 연구
- 가. 정규 교과 수업의 심화학습 및 학문적 호기심과 열정을 구체화할 수 있는 개인 연구 기회 제공
- 나. 국제 계열의 영재로서 사회에 대한 깊은 관심과 이해력을 바탕으로 문제점을 도출하고 이를 해결하는 능력과 참여적 태도 함양
- 다. 문제를 스스로 연구하는 가운데 자기주도적 학습능력 및 창의적이며 분석적인 사고능력 신장
4. 학력 관리 운영
- 가. 학생 진단 및 이해
- 인지적, 정의적 환경적인 학습저해 요인에 대한 과학적인 진단 프로그램에 의한 학생 사전 진단
- 학생 학습 이력 및 행동 관찰, 면담, 학습흥미도 검사 등 각종 검사를 통한 학생 이해
- 학부모와의 가정 통신 등에 의한 학생의 성격 및 가정생활 이해
- 나. 실태 분석
- 학생 성격, 학습 동기, 학습 습관에 대한 실태 분석(4월)
- 학습 저해 요인 분석(4월)
- 다. 학생의 학업성취 관련 배경변인 DB화
- 선행연구를 통해 관련 배경변인 탐색
- 수업, 야간자율학습, 학교생활 전반에 관련 자료 수집
- 데이터 코딩 및 크리닝
- 라. 학력관리 각종 프로그램 운영
- 내신관리 프로그램
- 각종 모의고사 관련 프로그램
- 종합적 성적관리 프로그램(자체)
5. 사교육 없는 학교를 만드는 방과후 학교 운영
